Position statement

Home > 학회소식 > Position statement
근관치료 시 CBCT 촬영에 대한 position statement
  • 2017년
  • 68 Hit

근관치료 시 CBCT 촬영에 대한 position statement
 

 콘빔 컴퓨터 단층촬영(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은 199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으며,1,2 일반 CT에 비해 적은 방사선조사량으로도 치아 및 주변조직의 3차원적 해부학적 정보를 제공해준다.3 또한 CBCT는 구강악안면 영역의 진단과 검사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CT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근래 들어 국내 치과계에도 CBCT의 도입이 활성화되어 있 으며 근관치료 영역에서도 빈번히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근관치료 영역에서 CBCT를 촬영하는데 있어 아직 적절한 국내 지침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대한치과보존학회에서는 이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는 바이다.

 

 방사선 방호에 대한 이해

 

 치과의사는 CBCT를 촬영하기에 앞서 이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특히 방사선 방호와 관련된 지식은 필수적이다. 인체에 가해지는 방사선의 양은 일반적으로 유효흡수선량(effective absorbed dose of radiation)으로 평가하는데 여러 연구에 의하면 CBCT의 유효흡수선량은 일반 CT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하지만 파노라마 사진보다는 훨씬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6 따라서 술자는 CBCT 촬영 전 환자와 충분한 논의를 거치고 동의서를 받아야 하며 방사선 조사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ALARA’의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방사선 조사에 취약한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에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근관치료 시 CBCT의 방사선 방호와 관련하여 기억해야 할 것 중 하나는 ‘field of view; FOV’이며 CBCT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근관치료 시 필요한 FOV는 하나 또는 몇 개의 치아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를 피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FOV를 제공하는 제품이 추천된다. 하지만 일부 제품은 단일 FOV 모드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구입 시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가능하면 mA와 노출시간을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 CBCT를 도입할 때 업체와 긴밀하게 상의하는 것이 필요하고 주기적으로 기기에 대한 점검을 받아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진료인력은 항상 필름배지 등의 개인용 방사선 조사량 측정 장치를 착용하여야 한다.

 

CBCT 촬영의 근관치료학적 기준

 

 근관치료를 위해 CBCT를 촬영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점은 해부학적 정보를 얻기 위해 무분별하게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우선 충분한 임상 검사를 시행하고 치근단방사선사진과 같은 전통적인 방사선사진을 촬영해야 한다. 아울러 CBCT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 조사로 얻을 수 있는 임상적 이익이 위험성을 상회할 경우에만 시행해야 한다. 근관치료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적합한 FOV 모드를 사용한 CBCT의 촬영을 고려할 수 있다.

 

1. 치근단 병소의 탐지

CBCT는 통상적인 2차원적 방사선사진에 비해 치근단부위의 병적 변화를 보다 일찍 탐지할 수 있다.7 치근단 병소가 방사선사진에서 쉽게 탐지될 만큼 발달하기 전에 근관치료를 시행할 때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CBCT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경우가 있다.8 특히 환자의 증상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인 방사선사진에서 원인을 찾기 어려울 때 촬영할 수 있다. 아울러 CBCT를 이용하면 치근단 육아종과 치근단 낭종을 감별하는데 있어 유용하므로 외과적 또는 비외과적 방법을 결정할 때 촬영을 고려할 수 있다.9


2. 근관계의 해부학적 구조가 매우 복잡한 경우

때때로 해부학적인 형태가 매우 복잡한 치아를 접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치내치(dens invaginatus)와 같은 해부학적변이가 진단과정에서 의심되는 경우에는 치료 전 촬영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치료를 하는 도중에 근관을 찾을 수 없어서 근관의 3차원적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도 촬영할 수 있다. 아울러 치근이 심하게 만곡된 경우(예; radix entomolaris) 기구의 분리(instrument separation)와 같은 우발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사전정보를 얻을 수 있다.10

 

3. 복잡한 외상

치아 및 주변조직에 심한 탈구나 수평치근파절이 발생한 경우 치근단 방사선 사진이나 교합방사선 사진 등 전통적인 방법으로 평가가 어려운 경우 촬영할 수 있다.11


4. 천공의 탐지

치료 도중 우발적으로 또는 내흡수(internal resorption)가 진행되어 치아주위조직으로의 천공이 발생한 경우 촬영할 수 있다. 특히 CBCT는 비박화 치근천공(stripping root perforation)과 같이 탐지가 어려운 증례에서 통상적인 치근단방사선사진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5. 치근단 수술

치근단 수술을 계획할 때 치근단과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의 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3차원 이미지가 필요하며. 특히 대구치 수술 시 하치조신경관, 이공, 상악동과의 인접성을 판단할 때 유용하다.13 또한 피질골(cortical plate)의 두께, 해면골(cancellous bone)의 패턴, fenestration, 치근의 경사도 등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14

 

6. 분리된 기구의 탐지

근관 내에서 우발적으로 분리된 기구를 탐지하기 위해 촬영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 경우 CBCT의 활용은 다소 의문의 여지

가 있다. 특히 치근단 부위에서 분리된 기구의 탐지 면에서는 통상적인 치근단방사선 사진이 CBCT에 비해 유리한 경우도 있

기 때문에 분리된 기구의 탐지를 위해 무분별하게 촬영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15

 

 

References

1. Mozzo P, Procacci C, Tacconi A, Martini PT, Andreis IA. A new volumetric CT machine for dental imaging based on the conebeam technique: preliminary results. Eur Radiol 1998;8:1558-1564.

2. Arai Y, Tammisalo E, Iwai K, Hashimoto K, Shinoda K. Development of a compact computed tomographic apparatus for dental use. Dentomaxillofac Radiol 1999;28:245-248.

3. Ziegler CM, Woertche R, Brief J, Hassfeld S. Clinical indications for digital volume tomography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Dentomaxillofac Radiol 2002;31:126-130.

4. Hashimoto K, Arai Y, Iwai K, Araki M, Kawashima S, Terakado M. A comparison of a new limite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machine for dental use with a multidetector row helical CT machin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3;95:371-377.

5. Ngan DC, Kharbanda OP, Geenty JP, Darendeliler MA. Comparison of radiation levels from computed tomography and conventional dental radiographs. Aust Orthod J 2003;19:67-75.

6. Gibbs SJ. Effective dose equivalent and effective dose: comparison for common projections in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0;90:538-545.

7. Lofthag-Hansen S, Huumonen S, Gr?ndahl K, Gr?ndahl H-G. Limited cone-beam CT and intraoral radiography for the diagnosis of periapical patholog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114-119.

8. Friedman S. Prognosis of initial endodontic therapy. Endod Topics 2002;2:59-98.

9. Simon JHS, Enciso R, Malfaz J-M, Roges R, Bailey-Perry M, Patel A. Differential diagnosis of large periapical lesion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measurements and biopsy. J Endod 2006;32:833-837.

10. Abella F, Mercad? M, Duran-Sindreu F, Roig M. Managing severe curvature of radix entomolaris: three-dimensional analysis wit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t Endod J 2011;44:876-885.

11. Cohenca N, Simon JH, Roges R, Morag Y, Malfaz JM. Clinical indications for digital imaging in dento-alvelor trauma. Part 1: traumatic injuries. Dent Traumatol 2007;23:95-104.

12. Shemesh H, Cristescu RC, Wesselink PR, Wu MK. The use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d digital periapical radiographs to diagnose root perforations. J Endod 2011;37:513-516.

13. Velvart P, Hecker H, Tillinger G. Detection of the apical lesion and the mandibular canal in conventional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1;92:682-688.

14. Nakata K, Naitoh M, Izumi M, Inamoto K, Ariji E, Nakamura H. Effectiveness of dental computed tomography in diagnostic imaging of periradicular lesion of each root of a multirooted tooth: a case report. J Endod 2006;32:583-587.

15. Rosen E, Venezia NB, Azizi H, Kamburoglu K, Meirowitz A, Ziv-Baran T, Tsesis I. A Comparison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with periapical radiography in the detection of separated instruments retained in the apical third of root canalfilled teeth. J Endod 2016;42:1035-1039.

 

보존과 병원 찾기
보존과 병원 찾기

닫기